“내 글이 그렇게 유명해졌나?”
이렇게 착각(?)하기 딱 좋습니다.
하지만 티스토리의 ‘직접유입’, 꼭 그런 뜻만은 아닙니다.
지금부터 헷갈림 없이, 아주 시원하게 설명드릴게요!
⸻
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‘유입경로’에서 자주 보게 되는 단어, 바로 ‘직접유입’입니다.
처음 보면 헷갈리죠.
“누가 내 블로그 주소를 직접 쳐서 들어온 거야?”
직접유입 = 출처를 알 수 없는 방문
간단히 말하면, 직접유입은 링크의 출처가 안 보일 때 생깁니다.
예를 들어 이런 경우가 다 포함돼요:
• 블로그 주소를 직접 입력했을 때
• 즐겨찾기(북마크)에서 클릭
• 카카오톡, 문자, 이메일, 인스타 DM 등에서 링크 클릭
• 어떤 앱이나 특정 사이트에서 링크 클릭 (출처 추적 불가 시)
즉, 검색포털(네이버, 구글 등)이나 명확한 referrer가 없으면 무조건 ‘직접유입’으로 분류됩니다.
⸻
주소 외운 사람이 들어온 건 아닐 수도!
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부분 하나.
“직접유입이면 내 블로그 주소 외워서 찾아온 거 아냐?”
→ 꼭 그렇진 않습니다!
대부분은 카톡이나 문자, SNS 링크 클릭 등 출처가 모호한 경로일 뿐.
주소를 외워서 들어온 게 아니라, 출처 추적이 안 된 것뿐이에요.
⸻
검색유입 vs 직접유입, 뭐가 더 중요할까?
사실 블로그 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건 검색유입입니다.
검색 유입이 많다는 건, 내 글이 키워드 검색에 잘 노출되고 있다는 의미니까요.
하지만 직접유입도 나름 의미 있어요.
• 내 글이 공유되고 있다는 증거
• 사람들이 재방문하고 있다는 신호
• 브랜드 인지도가 생기고 있다는 긍정적인 흐름
결국 둘 다 중요한데, 검색유입이 기반, 직접유입은 성장의 보너스라고 보시면 됩니다.
⸻
직접유입 너무 많으면 문제일까?
꼭 그런 건 아니지만, 검색유입보다 직접유입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면?
→ 검색 노출이 약하다는 신호일 수 있어요.
이럴 땐 블로그 SEO를 다시 점검해봐야 합니다.
제목, 본문 키워드, 글 구조 등을 체크해보는 게 좋아요.
⸻
직접유입 구체적으로 추적하는 방법? (팁!)
조금 더 정확히 유입 경로를 보고 싶다면, UTM 파라미터를 활용하세요.
예시:
https://yourblog.com/post123?utm_source=kakao&utm_medium=share
이런 식으로 링크를 보내면, 어디서 유입됐는지 구체적으로 분석 가능합니다.
마케팅/홍보하는 분들에겐 필수 팁!
⸻
결론: 직접유입, 너무 깊게 고민하지 마세요
정리하자면,
• 직접유입은 ‘출처를 알 수 없는 유입’일 뿐
• 꼭 누가 주소를 직접 입력한 건 아님
• 검색유입은 키워드 노출 지표, 직접유입은 콘텐츠 영향력 지표
• 비율만 잘 균형 맞추면 OK!
너무 의미 부여하거나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.
중요한 건 콘텐츠의 품질과 꾸준한 SEO 관리!
'생활 필요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판교 사투리? 테크업계에서 통하는 판교어 해설집 (1) | 2025.03.04 |
---|---|
어도비 위약금 없이 취소하기 (0) | 2024.10.21 |
F-2-7, 점수제 우수인재 자격 변경 셀프로 하기 (대상자, 대상별 필요서류, 점수계산) (0) | 2024.08.10 |
F-5, 영주권 취득의 모든 것 : 유형별 영주권 전환 전략 총정리 (0) | 2024.08.09 |
협의이혼, 변호사 없이 하는 법|서류 준비와 이혼 신고까지 완벽 가이드 (0) | 2024.08.05 |